서울시가 실시하는 '자녀출산 무주택가구 주거비 지원사업'은 2025년 1월 1일부터 10월 31일 사이에 자녀를 출산한 서울시 무주택 가구를 대상으로, "2년간 최대 720만 원(월 30만 원)"의 주거비를 현금으로 지원하는 정책입니다. 이 사업의 주요 내용, 조건, 신청 방법, 유의사항 등을 정리해 드립니다.
1. 지원 대상 및 자격 요건
- 신청 기간: 2025년 8월 1일 ~ 2025년 10월 31일
- 지원 대상: 2025년 1월 1일~10월 31일 출산(또는 입양)한 무주택 가구
- 거주 요건: 신청자(부 또는 모)가 서울시에 주민등록상 거주, 전세 3억 원 이하 또는 월세(환산액 130만 원 이하) 임차 주택 거주.
- 무주택자: 부·모 모두 무주택(공유지분·분양권 등 소유 시 제외)
- 소득 기준: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
- 공공임대주택(예: SH/ LH 임대) 입주 중이면 신청 불가
- 타 주거지원정책(신혼부부 임차보증금 이자 지원 등)과 중복 불가
2. 지원 내용
- 지원금: 월 30만 원씩, 2년간 최대 720만 원
- 지급방식: 6개월 단위로 4회 분할 지급(1회 180만 원씩, 실제 지출 내역 증빙 후 지급).
- 추가 출산 시 연장: 지원기간 중 자녀 출생마다 연장
- 출생아 1명당 1년, 쌍둥이는 1년, 세쌍둥이 이상인 경우 2년 연장
- 최장 4년 지원 가능
3. 신청 방법
- 온라인 신청:
서울시 몽땅정보만능키(https://umppa.seoul.go.kr)에서 직접 신청 - 필요 서류:
출산(입양) 확인서류, 임대차 계약서, 무주택 및 소득 증빙 등 - 문의처:
☎ 1533-1465(서울시 여성가족재단), 각 자치구 복지부서
4. 유의 사항
- 지원 중단 사유:
- 주택 구입(소유자 등재 또는 공유분 등 취득)
- 타 시·도로 이주(주민등록상 서울시 이탈)
- 지원기간 내 무주택 상태, 소득·임대요건 유지 필수
- 상반기(1~6월) 1차 신청분과 하반기(7~10월) 2차 신청분 모두 통합하여 연간 약 1,380가구 선정
- 특이사항: 입양은 공고일 기준 출생 48개월 이하만 인정
자주 묻는 질문(FAQ)
1. ‘자녀출산 무주택가구 주거비 지원사업’의 기존 주거지원, 출산지원사업과 중복 지원이 가능한가요?
아니오. ‘자녀출산 무주택가구 주거비 지원사업’은 서울시 또는 국가에서 시행하는 장기전세, 신혼부부 임차보증금 이자지원, 공공임대주택(예: SH·LH 단지) 입주 등 다른 주거지원정책과는 중복 지원이 불가합니다. 이전에 타 제도 지원을 받고 있는 경우 신청 전에 반드시 지원 자격 중복 여부를 확인하세요.
2. 신청 기간(10월 31일) 이후에 자녀를 출산한 경우 내년에 다시 신청할 수 있나요?
네. ‘자녀출산 무주택가구 주거비 지원사업’은 매년 별도 공고를 통해 신규 출산 가구를 대상으로 접수를 받습니다. 올해 신청 기간(2025.1.1~10.31) 이전 또는 이후에 출산(입양)한 경우, 내년도 사업 일정에 맞춰 새롭게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3. 지원기간 중 전입·전출 또는 주택 구입, 계약 변경이 발생하면 어떻게 되나요?
지원기간 중 주택을 구입(소유권 등기), 서울시 외 지역으로 주민등록 전출, 임대주택 조건(3억원 초과 전세, 130만원 초과 월세 등) 위반 시 ‘자녀출산 무주택가구 주거비 지원사업’의 지원이 중지됩니다. 또한 월세 또는 임대차계약이 변경된 경우 담당부서에 즉시 신고해 자격 재심사를 받아야 불이익이 없습니다.
이 외에도 신청서류, 추가 출산 시 연장 신청, 해당 임차주택 조건 등 궁금한 내용은 서울시 공식 홈페이지 또는 상담번호(1533-1465)에서 자세히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요약
- 2025.1.1~10.31 출산한 무주택 가구 지원
- 월 30만 원씩 2년(최대 720만 원), 추가 출산시 연장
- 전세 3억, 월세 130만 원 이하 임차가구, 중위소득 180% 이하, SH/LH 등 임대주택 거주자는 제외
- 온라인 신청: 몽땅정보만능키(umppa.seoul.go.kr), 문의: 1533-1465
- 10월 31일까지 반드시 신청해야 하며, 지원 중 주택 구매/서울 이탈시 중단
서울시의 이 정책은 자녀 출산 후에도 서울에서 안정적으로 거주하며 양육할 수 있도록 주거비 부담을 덜어주는 출산 친화적 주거정책입니다.
본인부담 상한제 소득분위
본인부담 상한제 소득분위별 상한액 총정리(2025년 기준)병원비가 너무 많이 나왔는데 환급받을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건강보험 진료비 중 급여 항목에 대해 일정 금액 이상 부담한 경우, 국민
silk.saemotip.info
콩나물 효능 부작용
콩나물 효능 부작용 총정리! 알고 먹으면 더 건강해져요콩나물은 저렴하면서도 다양한 건강 효능을 지닌 대표적인 국민 식재료입니다. 해장국, 반찬, 비빔밥까지 활용도가 높아 자주 접하지만,
silk.saemotip.info
헬리코박터균 발병원인
헬리코박터균(Helicobacter pylori)은 위장 점막에 기생하는 나선형 세균으로, 위염·위궤양·십이지장궤양·위암 등 여러 위장 질환의 주요 원인입니다. 아래에 헬리코박터균 발병원인, 증상, 치료법,
silk.saemotip.info